한국 전력, 아직 갈 길이 머네요.모선별한계가격(LMP: Locational Marginal Price)은 전력을 소비하는 지역마다 송전망의 혼잡 상황과 발전 단가를 반영하여 실시간으로 산출되는 전력 가격이다. 송전이 원활한 지역은 LMP가 낮고, 송전이 병목된 지역은 LMP가 높아진다. 이 수치는 단순히 전기 요금의 기준이 될 뿐만 아니라 송전선 투자와 산업 분산의 판단 근거가 된다. LMP는 글로벌 전력시장 운영의 표준 도구이지만 한국은 이를 정확히 산출하거나 공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아직 갖추지 못하고 있다.상세 내용 : https://solartimes.co.kr/bbs/board.php?bo_table=news01_1&wr_id=69
2025년 7월 21일, 윤준병 국회의원이 **‘영농형 태양광 발전사업법’**을 대표 발의했어요. 이 법이 통과되면 농지 위에 태양광을 설치해도 합법적으로 30년간 사용할 수 있고, 농사와 태양광 발전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됩니다. 왜 중요한가요? 기존에는 8년만 허용됐던 농지 내 태양광 설치 → 앞으로는 최대 30년 가능 농지 훼손 없이 태양광을 설치하면, 자가소비 + 전력판매 + 직불금 혜택까지 지역별로 ‘영농형 태양광 특구’ 지정 가능! → 무분별한 설치 막고 체계적 지원 가능 어떤 혜택이 생기나요? 공공기관 우선 구매 → 전기 팔 곳이 보장됨 송배전 설비 비용 감면 → 초기 투자 부담↓ 공익직불금 지급 기준 마련 → 농업인 소득 보완 이격거리 규제 완화 → 설치 위치 제약도 줄어듦 누가 하면 좋을까요? 영농을 계속하며 추가 수익을 원하는 농업인 에너지 자립마을을 추진 중인 지자체 중소 태양광 시공·운영 사업자 “농사도 짓고 전기도 생산하고! 영농형 태양광, 이젠 국가가 밀어줍니다.”
REC 가중치? 정확하게 알고 가자! 태양광 발전소에서 나오는 REC(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많이 들어봤지만 아직도 가중치 계산 헷갈리는 분 많죠? 이번엔 진짜 정확하게! REC 가중치 조건 + 계산법까지 딱 정리해드릴게요 ???? REC는 어떻게 발급되나? 1 REC = 1MWh 발전량 즉, 발전량이 1,000kWh가 돼야 REC 1개가 나오는 구조! 여기에 가중치가 곱해져서 최종적으로 발급되는 REC 수량이 결정됩니다. 정식 계산법 REC 발급량 = (총 발전량 ÷ 1,000kWh) × 가중치 예시로 이해해보자상황: 발전량: 2,500kWh 가중치: 1.2 계산: 2,500 ÷ 1,000 = 2.5MWh 2.5 × 1.2 = REC 3개 발급 ✔️ REC는 소수점 단위까지 발급되며, 전산 처리됨 주요 가중치 조건 요약 항목 조건 예시 가중치 범위 ???? 설치 위치 건축물 위 / 일반부지 1.0 ~ 1.5 ☀️ 발전 방식 고정식 / 자동추적식 1.0 ~ 1.5 ⚡ 설비 규모 100kW 이하 / 초과 소형일수록 가중치↑ ???? 발전 목적 자가소비형 / 판매형 자가소비형이 더 높음 실전 팁 공장 지붕에 설치한 99kW 고정형 발전소라면 가중치 약 1.2~1.3 적용 가능 자가소비형 + 소형 조합이면 1.5 이상까지 가능하기도 함! (조건 충족 시) 솔라트리에서는? 발전소 조건 입력하면 예상 REC 자동 계산 REC 단가 기준으로 수익률 시뮬레이션 가능 정책 변경 시 가중치 고시 최신 반영 마무리 요약 ✔️ 1,000kWh = REC 1개 기준! ✔️ 여기에 가중치(1.0~1.5) 곱해 발급량 결정 ✔️ 설치 조건 잘 잡으면 수익 차이 최대 50%까지! ✔️ 헷갈릴 땐, 솔라트리 앱으로 직접 돌려보자 #REC #가중치 #태양광수익 #솔라트리 #신재생에너지 #태양광설치정보
공장이나 창고 지붕 위, 놀리고 있다면 태양광 설치를 고민해볼 시점. 전기료 아끼고, 유휴공간 수익화까지! 하지만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한 분들을 위해, 공장 옥상 태양광 설치법을 정리해봄 ???? 1. 옥상 상태 점검 먼저! 하중 구조 확인: 태양광 구조물과 모듈 무게를 견딜 수 있는지 확인 필요 방수·누수 여부 확인: 옥상 노후화 상태면 방수 작업 선행해야 함 형상/음영 체크: 굴뚝, 배관 등으로 인한 그림자 발생 여부 체크 ☑️ Tip: 구조안전진단은 설치 전 필수! 2. 전기 사용량 분석하기 공장 전기계량기(계량기 번호)를 통해 월 사용량 확인 자가소비만 할지, 잉여전력을 판매할지도 결정 → 요금제에 따라 설치 규모 달라짐 ☑️ 월 1,000kWh 이상 사용하면 설치 시 경제성↑ 3. 설치 가능 용량 계산 옥상 면적 100평당 약 30kW 설치 가능 (평균값) 구조물 각도 조절이 가능한 트러스형 또는 평지붕 고정형 구조 선택 ☑️ 남향이 가장 이상적이며, 지붕 경사도 고려해야 함 4. 시공사 선정 & 인허가 진행 태양광 전문 시공사와 계약 발전사업허가, 개발행위허가, 전기안전공사 검사 등 인허가 절차 병행 ☑️ 솔라트리에서는 시공사 추천 및 절차 안내도 도와줌! 5. 계통연계 & 발전 시작! 한전에 계통연계 신청 설치 후 최종 점검 받고, 계량기 교체 → 발전 시작 ☑️ 수익 발생 시, 세무신고 및 REC 거래도 가능 솔라트리 앱에서는? 공장 옥상용 발전소 설치 견적 시뮬레이션 가능 실제 시공사 후기, REC/SMP 수익률 계산 기능 제공 전문가 상담도 앱에서 바로 신청 가능 궁금한 점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솔라트리와 함께 공장 지붕 위 수익을 키워보세요! ???? #태양광 #공장옥상태양광 #태양광수익 #에너지자립 #솔라트리 #SMP #REC #태양광설치법
진천군, 3kW 태양광 주택 설치 시 국·도비 보조금 지원함. 자부담 164만 원 수준, 월 7~8만 원 전기요금 절감 가능함. 신청일은 7월 29~30일,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됨.
한전, 차세대 배전망 ‘ADMS’ 전국 15개 본부에 구축 완료함. 분산전원 증가 대응 위해 양방향 전력 흐름 감시·제어 기능 탑재함. 2036년까지 약 4,000억 원 절감 예상, 연간 51억 원 운영비 절감 효과 예상.